이춘시 (장시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춘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장시성 중서부에 위치한 지급시로, 2000년 5월 22일 이춘지구가 지급시로 승격되면서 설치되었다. 이춘시는 위안저우구, 펑청시, 장수시, 가오안시, 펑신현, 완짜이현, 상가오현, 이펑현, 징안현, 퉁구현 등 1개 구, 3개 시, 6개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아시아 몬순의 영향을 받는 습윤 아열대 기후를 보이며, 농업 외에 알루미늄, 텅스텐 등 천연 자원 관련 사업도 이루어진다. 교통의 요지로, 이춘 밍위에산 공항, 이춘 기차역, 여러 고속도로를 통해 주요 도시로의 접근이 용이하다. 또한 명월산, 이춘 공자묘 등 풍부한 문화 및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춘시 (장시성) - 우궁산
우궁산은 중국 남동부에 위치한 화강암, 석회암 등으로 이루어진 산맥으로, 지각 변동으로 융기하여 형성되었으며, 비옥한 토양과 풍부한 강수량, 온화한 기온 덕분에 다양한 식생과 넓은 초원을 가져 휴양지로 꼽힌다. - 장시성의 지급시 - 잉탄시
잉탄시는 장시성 동부에 위치한 지급시로, 1983년 상요 지구에서 승격되었으며 웨후 구, 위장 구, 구이시 시를 관할하고, 여러 철도 및 고속도로 노선이 지나가는 교통 요지이며 용호산 풍경구가 있는 관광지이다. - 장시성의 지급시 - 신위시
신위시는 1,700년 역사를 지닌 중국 장시성 중서부의 지급시로, 철강 산업과 간펑 리튬 본사가 있으며 위수구, 펀이현, 선녀호 풍경구, 가오신 기술 경제 개발구를 관할하고 대한민국 제천시와 자매 결연을 맺었다.
이춘시 (장시성)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이춘 시 |
로마자 표기 | Yíchūn |
기타 명칭 | Ichun (과거 표기) |
![]() | |
별칭 | 해당 정보 없음 |
행정 | |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성 | 장시 성 |
행정 중심지 | 위안저우 구 |
시장 | 장빈 |
면적 | |
총 면적 | 18637.67 제곱킬로미터 |
육지 면적 | 18669 제곱킬로미터 |
인구 통계 | |
인구 (2010년) | 5,419,575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경제 | |
GDP (2016년) | 1621억 인민폐 (260억 미국 달러) |
1인당 GDP | 29459 인민폐 (4730 미국 달러) |
시간대 | |
시간대 | 중국 표준시 (UTC+8) |
우편 번호 | |
우편 번호 | 336000 |
지역 번호 | |
지역 번호 | 0795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기타 | |
차량 번호판 | 赣C |
행정 구역 코드 | 360900 |
ISO 3166-2 | CN-JX-09 |
2. 역사
2000년 5월 22일, 이춘 지구를 지급시인 이춘 시로 승격했다.[7][8]
2. 1. 이춘 전구 (1949-1952)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장시성 '''위안저우 전구'''가 성립되었다. 이때 이춘 현, 이펑현, 퉁구현, 상가오현, 완자이현, 신위 현, 펀이현, 핑샹 현이 설치되었다. (8현)[7][8]2. 2. 이춘 지구 (1958-2000)
날짜 | 사건 내용 |
---|---|
1958년 12월 8일 | 난창전구(南昌専区)가 이춘전구(宜春専区)로 개칭됨. (14현)[7][8] |
1960년 8월 15일 | 무주전구(撫州専区) 진현현을 편입함. (15현)[7][8] |
1960년 9월 30일 | 신여현(新余県)이 시로 승격하여 지급시 신여시(新余市)가 됨.[7][8] |
핑샹현(萍郷県)이 시로 승격하여 핑샹시가 됨. (1시 13현) | |
1961년 9월 16일 | 난창시 난창현・신젠현을 편입함. (1시 15현)[7][8] |
1963년 4월 | 이춘현의 일부가 분리되어, 이춘진이 발족함. (1시 15현 1진)[7][8] |
1963년 9월 14일 | 신여시를 편입함. 신여시는 현으로 격하되어 신여현이 됨. (1시 16현 1진)[7][8] |
1967년 1월 | 이춘진이 이춘현에 편입됨. (1시 16현)[7][8] |
1968년 6월 11일 | 진현현이 무주전구에 편입됨. (1시 15현)[7][8] |
1968년 9월 11일 | 난창시 교외가 난창현, 신젠현으로 분할 편입됨. (1시 15현)[7][8] |
1969년 10월 | 신젠현, 안의현 각 일부가 주이지구(九江専区) 융슈현의 일부와 합병하여, 난창시 메이링 관리구가 됨. (1시 15현)[7][8] |
1970년 3월 10일 | 핑샹시가 지급시 핑샹시로 승격됨. (15현)[7][8] |
1970년 10월 7일 | 이춘전구가 이춘지구로 개칭됨. (15현)[7][8] |
1971년 5월 28일 | 난창현, 신젠현이 난창시에 편입됨. (13현)[7][8] |
1979년 10월 8일 | 이춘현의 일부가 분리되어, 이춘시가 발족됨. (1시 13현)[7][8] |
1980년 12월 9일 | 이춘현의 일부가 이춘시에 편입됨. (1시 13현)[7][8] |
1981년 5월 27일 | 안의현의 일부가 난창시 완리구에 편입됨. (1시 13현)[7][8] |
1983년 7월 27일 | 신여현이 시로 승격하여 지급시 신여시로 승격됨.[7][8] |
펀이현이 신여시에 편입됨. | |
안의현이 난창시에 편입됨. (1시 10현) | |
1985년 3월 20일 | 이춘현이 이춘시에 편입됨. (1시 9현)[7][8] |
1988년 10월 4일 | 펑청현(豊城県)이 시로 승격하여, 펑청시가 됨. (2시 8현)[7][8] |
1988년 10월 13일 | 장수시(짱수이현)(清江県)이 시로 승격하여, 장수시가 됨. (3시 7현)[7][8] |
1993년 12월 8일 | 가오안현(高安県)이 시로 승격하여, 가오안시가 됨. (4시 6현)[7][8] |
2000년 5월 22일 | 이춘지구가 지급시 이춘시로 승격됨.[7][8] |
2. 3. 이춘 시 (2000-현재)
2000년 5월 22일, 이춘 지구를 지급시인 '''이춘 시'''로 승격했다.[7][8] 이와 함께 이춘 시에 구제를 시행하면서 '''위안저우구'''를 설치했다. (1개 구, 3개 시, 6개 현)3. 지리
이춘시는 장시성 중서부에 자리하며, 북위 27°33′~29°06′, 동경 113°54′~116°27′에 위치한다. 동쪽으로는 난창과 푸저우, 남쪽으로는 지안, 신위, 서남쪽으로는 핑샹, 서북쪽으로는 창사와 웨양(모두 후난성), 북쪽으로는 지우장과 경계를 접한다.[2][3][4]
3. 1. 기후
이춘시는 동아시아 몬순의 영향을 받는 습윤 아열대 기후(쾨펜 ''Cfa'')를 보이며, 길고 습하며 매우 더운 여름(하지만 장시성의 다른 지역보다는 약간 시원함)과 춥고 건조한 겨울이 나타나며, 가끔 한파가 발생한다. 월별 24시간 평균 기온은 1월 5.9°C에서 7월 28.6°C까지이며, 연평균 기온은 17.5°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631.5mm이다. 겨울은 다소 맑고 건조하게 시작하지만 점차 습하고 흐려지며, 봄은 특히 우울하게 시작되어 4월부터 6월까지 매달 210mm 이상의 강수량을 기록한다. 6월에 폭우가 잦아든 후 여름은 특히 맑다. 가을은 따뜻하고 비교적 건조하다.[9][10]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 | 9.5°C | 12.5°C | 16.5°C | 23°C | 27.4°C | 30.3°C | 33.6°C | 33.2°C | 29.5°C | 24.5°C | 18.4°C | 12.3°C | - |
일 평균 기온 (℃) | 5.9°C | 8.4°C | 12.1°C | 18.1°C | 22.7°C | 25.8°C | 28.6°C | 28°C | 24.6°C | 19.3°C | 13.4°C | 7.9°C | 17.5°C |
평균 최저 기온 (℃) | 3.3°C | 5.6°C | 9°C | 14.5°C | 19°C | 22.5°C | 24.7°C | 24.4°C | 20.9°C | 15.6°C | 9.9°C | 4.7°C | - |
역대 최고 기온 (℃) | 25.6°C | 29.9°C | 35°C | 36.1°C | 37°C | 37.5°C | 39.9°C | 40.2°C | 37.7°C | 36.7°C | 31.7°C | 25.3°C | - |
역대 최저 기온 (℃) | -6.1°C | -6.9°C | -2.3°C | 1.6°C | 9.2°C | 12.9°C | 17.9°C | 16.9°C | 11.6°C | 1.5°C | -3.8°C | -8.5°C | - |
강수량 (mm) | 81.2mm | 93.7mm | 189.8mm | 199mm | 223.6mm | 271mm | 185.6mm | 130.2mm | 82.4mm | 59.6mm | 92.9mm | 65mm | 1631.5mm |
상대 습도 (%) | 81 | 81 | 82 | 81 | 80 | 83 | 78 | 79 | 79 | 76 | 79 | 78 | -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14.7 | 14.2 | 18.2 | 17.7 | 17.1 | 16.4 | 12.8 | 13.4 | 10.1 | 9.1 | 11.0 | 11.5 | - |
평균 일조시간 | 64.8 | 66.7 | 78.1 | 105.0 | 127.0 | 126.7 | 205.9 | 192.1 | 157.9 | 143.2 | 116.3 | 101.0 | - |
월별 일조율 (%) | 20 | 21 | 21 | 27 | 30 | 30 | 49 | 48 | 43 | 41 | 36 | 32 | - |
평균 적설일수 | 3.7 | 2.1 | 0.3 | 0 | 0 | 0 | 0 | 0 | 0 | 0 | 0 | 0.9 | - |
4. 행정 구역
이춘 시는 1개의 시할구, 3개의 현급시, 6개의 현을 관할한다.[5]
시할구 |
---|
위안저우구 |
현급시 |
펑청 시 |
장수 시 |
가오안 시 |
현 |
펑신 현 |
완짜이 현 |
상가오 현 |
이펑 현 |
징안 현 |
퉁구 현 |
5. 경제
이춘은 농업이 주요 산업이지만 제재업과 광업 같은 천연 자원 관련 사업도 지역 경제에 매우 중요하다. 주요 매장된 광물로는 알루미늄, 텅스텐, 금, 아연, 구리가 있다.[1] 1990년대에는 두 개의 경기장을 갖춘 대규모 스포츠 단지가 건설되어 중국 전역에서 스포츠 경기를 위해 팀들을 유치하고 있다.[1]
6. 교통
베이징과 난창 사이를 운행하는 철로가 이춘시를 통과한다. 이춘 기차역은 베이징과 난창을 잇는 주요 철도 노선의 중요한 정차역이며, 2014년부터는 창사와 난창역 사이를 운행하는 상하이-창사 고속철도(CRH) 노선의 역이 되었다.[1] 이춘 밍위에산 공항에서는 베이징, 상하이, 우한, 난창 등 중국 주요 도시로 가는 직항편을 이용할 수 있다.[1]
6. 1. 도로
구분 | 내용 |
---|---|
고속도로 | --다광 고속도로, --후쿤 고속도로, --난사오 고속도로, S38 창리 고속도로, S40 창퉁 고속도로, S42 둥창 고속도로, --장지 고속도로, S81 완이 고속도로 |
국도 | 국도 105호선, 국도 320호선 |
국도 320호선, 국도 105호선, 후쿤 고속도로, 간위에 고속도로(장시-광둥 고속도로)는 이춘시의 편리한 교통망을 형성하고 있다.
6. 2. 철도
이춘 기차역은 베이징과 난창을 잇는 주요 철도 노선의 중요한 정차역이다. 2014년부터는 창사와 난창역 사이를 운행하는 상하이-창사 고속철도(CRH) 노선의 역이 되었다.[1]
- -- 중국 국가철로집단
- * 후쿤 여객전용선
- * 창간 여객전용선
- * 후쿤선
- * 징주선
6. 3. 항공
이춘 밍위에산 공항에서는 베이징, 상하이, 우한, 난창 등 중국 주요 도시로 가는 직항편을 이용할 수 있다.[1]7. 문화 및 관광
이춘시는 풍부한 역사, 문화 및 자연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당나라의 유명한 가마인 홍저우 요는 남조(서기 420–589년)에 처음 건설되었다. 1973년 이춘시에서 상나라의 우청 유적이 발견되었다. 장수시에 위치한 거자오산은 중국의 유명한 도교 산이다.[6] 또한 많은 고대 건물들이 있다. 관광객들은 이펑현과 퉁구현의 경계에 위치한 관산 풍경구도 방문한다. 유명한 명월산(달)은 밝은 초승달 모양에서 이름을 얻었으며, 케이블카를 이용하여 산 정상까지 접근할 수 있다. 이 지역은 해발 1000m가 넘는 10개 이상의 봉우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6개의 관광 구역으로 구성된 국가 삼림 공원이기도 하다. 그 중 양산 풍경구는 화남 불교의 중요한 발상지이며, 명월산 기슭의 원탕진은 셀레늄이 풍부한 온천으로 유명하다.
이춘 공자묘는 1143년에 창건된 공자묘이다.
8. 출신 인물
참조
[1]
서적
《江西统计年鉴-2016》
http://www.jxstj.gov[...]
中国统计出版社
2016-08
[2]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7-30
[3]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7-30
[4]
웹사이트
宜春 - 气象数据 -中国天气网
http://www.weather.c[...]
Weather China
2022-11-21
[5]
웹사이트
2022统计用区划和城乡划分代码
https://www.stats.go[...]
2022-10-01
[6]
웹사이트
“国保”吴城遗址
http://www.zhangshu.[...]
2023-08-02
[7]
웹사이트
县级以上行政区划变更情况
http://xzqh.mca.gov.[...]
中華人民共和国民政部
[8]
웹사이트
江西省 - 区划地名网
https://www.xzqh.org[...]
[9]
웹인용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중국기상국
2023-07-30
[10]
웹인용
中国气象数据网
https://experience.a[...]
중국기상국
2023-07-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